수천억 돈은때려부었으나 결과가없음!!!
중국은 열악한 상황에 딥시크 만들고 화웨이 자체개발 반도체로 서버, 에지 전반에서 엔비디아 추격중...국내스타트업은 정치권에기웃, 언플만...
기업은 결과와 매출로 말하는ㄱㅓ다.
최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비싼 칩을 쓰지 않고도 준수한 성과를 낸 점도 메타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오픈AI의 챗GPT와 유사한 생성형 AI 모델을 내놓은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H100 칩을 사용했지만, 추론 단계에서는 화웨이의 Ascend 910C 칩을 활용했다.
IB 업계 한 관계자는 “메타를 비롯한 많은 기업이 딥시크 사례를 지켜보며 꼭 고성능 칩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했을 것”이라며 “실제로 메타는 또 다른 국내 AI 칩 개발사인 리벨리온 제품도 테스트해 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퓨리오사AI는 지난 2017년 설립된 AI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이다. 미국 반도체 기업 AMD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출신 백준호 대표가 이끌고 있다. 퓨리오사AI는 지금까지 약 1억1500만 달러(약 1672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DSC인베스트먼트(241520), KDB산업은행, 네이버 D2SF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퓨리오사AI,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손잡고 메타버스·초거대AI 구축한다/
2022년 기사=>결과없음!!!
메타매각설 => 메타측 국내 업체 2곳이상 접촉...결과 불발!
이후 정치권에 기웃하며 언플 치중.
이미 Ai 칩 초기 선두그룹은 엑시트후 양자칩개발 중.
공공투자 /IPO 하기엔 투입대비 결과가 없음.
쳇gpt AI 고도화로 칩 설계 진입장벽도 낮아짐.
결국 소프트웨어 역량이 관건인데 이게 돈때려부어도 이건 하루아침에 달성할수 없음.
성과와 매출에 돈은 알아서 따라붙으나 그게 없다면 업계에서 냉정한 평가가 내려진 것.
검머외 대표가 미국서도 돈을 못구한다?
냉정하게 평가해야하는 상황.
대선과정에서 정치권 입질 시작하면 끝.
위키
3.2. 메타 플랫폼스 인수 제안[편집]
-
2025년 2월 메타 플랫폼스에 인수된다는 보도가 나왔다. 18일 퓨리오사의 정영범 상무는 더불어민주당 정동영·황정아, 국민의힘 최형두·최수진 의원 주최로 개최한 AI전략토론회에서 지분 매각은 물론 메타에 기업을 매각하는 방안까지 전부 고려하고 있다 밝히면서도 국내에서 투자를 받길 원했으나 원하는 규모 만큼의 제안이 없었다는 점에 아쉬움을 표했다.[6] 동월 27일에는 TSMC가 전략적 투자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7]도 들려왔다.
-
하지만 3월 24일 메타와 인수 협상[8]을 진행하지 않고 신규 펀딩을 진행하기로 결정하며 사내 직원들에 해외 매각 대신 독자적인 칩 개발과 양산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