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옳은거죠. 전통 차림이란 것들도 따지고 보면 당시에 나온 좋은 음식들 차렸던 거니...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들과 지금 기준으로 좋은 음식들로 조상님들 맛있는 것 드셔보시라고 올리는 게 옳은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렇게 차려야 가족들이 음복도 더 맛있게 할테니 지켜보시는 조상님들이 얼마나 흐뭇하시겠어요.
제사상 간소화 참 힘들었습니다.
옹고집 사촌동생이 큰집이고, 본인이 작은집의 장남입니다.
어른들 살아계실 때 하시는 말씀이 "내 대에는 어쩔 수 없지만 너희들 대에서는 제사상에 커피 한잔이면 족하다. 간소화 해라"라고 숙제를 던지고 돌아가신지 25년입니다.
그동안 상차림부터 줄이자고 줄곳 이야기 하여 왔으나 동생들의 반대로 건어물 하나도 줄이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올 봄에 "이번 추석은 벌초하는 다음날 성묘하고 추석날은 따로 제사를 지내지 않겠다."라고 선언하였습니다.
추석에만 그렇게 한다는 조건으로 벌초 다음날 전 가족이 모여서 성묘하고 이어서
고기굽고, 준비한 회로 형제들 전부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추석을 당겨서 보냈습니다.
큰집 동생에게 시집와 1년에 6번 FM제사를 준비해왔던 제수께서 본인한테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이날 동생들은 제사를 더 출이는 방법에 대한 토론도 하였고,
하여튼 남의 제사를 이러니 저러니 하지는 않겠지만, 제사를 줄여보니 모두가 즐거워지네요.
이번 추석은 귀한 내 아내를 고생시키는 제사가 아니라 같이 모여서 같이 즐기는 제사가 되었고,
내 대에서 제사로 인한 고생을 마무리 할 수 있어서 의무를 완수한 것 같은 추석이었습니다.
우리집도 다 그렇게 양반집이고.수도권에서 집성촌 있을 정도로 유명한 양반집임. 신문에도 나옴.
어릴때 명절때 진짜 제사 지내는게 거의 한나절 걸림. 동네 집집마다 다들림;;
지금도 벌초 할때 미치겠음.
그런데 제사상은 간단히 함. 그리고 요즘은 각자 소소하게 함. 그리고. 우리집으로 넘어 왔을때
딱 저렇게 살아 있는 사람 위주로 하자고 내가 바꾸고 랍스터. 포도. 파인애플 다 나옴.
그 이후 코로나 이후 집안 큰 제사도 없어지고 우리집 제사도 없어지고 그냥 쉬는 날임.
제사상은 돌아가신 부모님께 드리는 살아생전 못드신 마지막 끼니를 채워주는 의식입니다.
상을 차리고 부모님의 혼령을 초청하는 의식을 한 다음, 축문을 읽어 상을 차린 의미를 전달하고,
인사드리고, 마지막 식사를 대접하고 나면 끝나는 의식임.
차례는 그냥 조상님께 감사하는 의식이니.. 편하게 지내면 됨. 다만 추석은 풍성한 추수를 거두고 나서 조상님께 감사하고, 가족끼리 풍요로운 자리를 마련하면 된다고 봄.
조율이시는 후손을 많이 퍼트려 가문을 일으키겟다는 의미의 제수과일임. 나머지 홍동백서, 좌포우혜, 어동육서등등은 그냥 상을 차릴때 질서있게 통일감을 유지하기 위한 음식을 놓는 방식을 정해둔 것임.
제상상에 가서 감놔라 배놔라 하는게 아니라는 말은.. 그 집안에서 내려온 전통이 있으면 존중해서 타인이 이래저래 훈수두지 말라는 말임.
뼈대 있는 가문이면 전부터 내려오는 부모님께 배운대로 상을 차리면 되고, 이번에 가분이 풍요롭게 번창하여 새로이 시작하는 것이라면. 지금부터 통일감 있게 지내면 됨.
정작 중요한것은.. 나의 조상과 나의 후손이 누구이고, 나의 핏줄은 누구인지 이것을 후대에 전해줘서.. 길가다 서로 멱살잡이 하지 않게 하는것이 중요한것임.
제사를 지내는 집안은 한부모 아래 부모가 만들어준 인연을 후대로 계속 전달하는 일이 가능할것으로 봄. 제사상 앞에서 힘세다고 부유하다고 동생이 형보다 먼저 절할수는 없음. 그 순서를 바꾸어 지내면.. 개판 오분전인 집안일것임.
조상님들도 새로운 음식도 한번 드셔보시고...
제사, 차례상은 실제 먹을 사람 중심으로...
돈으로 족보 산 집구석이 늘어나면서 거창해지기 시작한거.
지금 한국 유학의 본산인 성균관에서도 제사상 간소화 권장합니다
조상님들도 새로운 음식도 한번 드셔보시고...
제사, 차례상은 실제 먹을 사람 중심으로...
상차림을 즐겁게 하는 마음이 중요하겠죠.
돈으로 족보 산 집구석이 늘어나면서 거창해지기 시작한거.
지금 한국 유학의 본산인 성균관에서도 제사상 간소화 권장합니다
틀린 걸 지적한게 아닙니다. 간소화 되면 나쁠 건 없어요.
생전에 치킨을 너무 좋아하셔서..
가래떡도 올리고. 삶은꼬막도 올리고..
짱구과자도 사서 올렸던 적이 있습니다.
고인을 생각하며 위하는 마음으로 하는 거니까...시대에 맞게 변하는 것도 괜찮다 생각함ㄷㄷ
코로나 터지기전에 납골당에 음식 차려서 제사 지낼수있을때 아버지가 평소 즐겨드셨던 음식들로 간단히 상 차려서 절하는데
뒤에 다른 참배객들 수군수군대길래 ㅈㄹㅈㄹ해준........
참고로 상에는 평소 즐겨드시던 탄산음료랑 삼겹살 구운거 통닭,떡볶이,피자 이런거 올렸음
옹고집 사촌동생이 큰집이고, 본인이 작은집의 장남입니다.
어른들 살아계실 때 하시는 말씀이 "내 대에는 어쩔 수 없지만 너희들 대에서는 제사상에 커피 한잔이면 족하다. 간소화 해라"라고 숙제를 던지고 돌아가신지 25년입니다.
그동안 상차림부터 줄이자고 줄곳 이야기 하여 왔으나 동생들의 반대로 건어물 하나도 줄이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올 봄에 "이번 추석은 벌초하는 다음날 성묘하고 추석날은 따로 제사를 지내지 않겠다."라고 선언하였습니다.
추석에만 그렇게 한다는 조건으로 벌초 다음날 전 가족이 모여서 성묘하고 이어서
고기굽고, 준비한 회로 형제들 전부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추석을 당겨서 보냈습니다.
큰집 동생에게 시집와 1년에 6번 FM제사를 준비해왔던 제수께서 본인한테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이날 동생들은 제사를 더 출이는 방법에 대한 토론도 하였고,
하여튼 남의 제사를 이러니 저러니 하지는 않겠지만, 제사를 줄여보니 모두가 즐거워지네요.
이번 추석은 귀한 내 아내를 고생시키는 제사가 아니라 같이 모여서 같이 즐기는 제사가 되었고,
내 대에서 제사로 인한 고생을 마무리 할 수 있어서 의무를 완수한 것 같은 추석이었습니다.
음식에 절을 하고 집에 와서 마누라랑 싸운다는 썰이 떠오르네요.
모두가 편한 명절이 되어가길 진심 고대하는 1인.
우리 형님 말씀..."제사란 온 가족이 모일수 있는 몇번 없는 가족 만남의 장...조상님들의 지혜..."
양반가 자랑할 것도 아니지에게만, 이게 다 없던 사람들이 조금 잘살게 되면서 남들 보여주기 위한 허례허식의 표본입니다.
홍동백서 조율이시 언제 만들어 졌는지 한번 찾아보시길....
자연적으로'가가례'가 생겨 났습니다. 얼마만큼 차려야 상다리가 부러지거나 휘어질 지는 모르겠지만
있는 집 자손들은 걸맞게 진귀음식들로 차린 건 분명해 보입니다.
조선후기 신분제 붕괴 이후 예(禮)를 배우고 싶어도 배울 수 없던 이들에게 자본이 형성 되면서 부터
과한 허례허식이 생겨난 게 문제라면 문제 일 겁니다.
차례는 간단히.제사는 경제력 비례가 맞다고 봅니다.
최소한 조율이시 홍동백서 따지는 거 못봤고....차례나 제사에 가족(친척)이 모이는 게 중요했지 남들 보여주기에 치중한 것은 한번도 못봤습니다.
뭐 몰락한 양반가 였기에 그랬을 수도 있지만....최소한 남들 보여주기에 치중했다는 느낌은 한번도 느껴본 적이 없네요.
에휴.. 여기 까지만 하겠습니다.
좌포우해
어동육서
기본이다.
기본은 하고
나머지는 살아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 올리면 되지.
돈이 없으면 간략하게 하고
상놈의 집안도 아니고
다 외국에 놀러간다
어릴때 명절때 진짜 제사 지내는게 거의 한나절 걸림. 동네 집집마다 다들림;;
지금도 벌초 할때 미치겠음.
그런데 제사상은 간단히 함. 그리고 요즘은 각자 소소하게 함. 그리고. 우리집으로 넘어 왔을때
딱 저렇게 살아 있는 사람 위주로 하자고 내가 바꾸고 랍스터. 포도. 파인애플 다 나옴.
그 이후 코로나 이후 집안 큰 제사도 없어지고 우리집 제사도 없어지고 그냥 쉬는 날임.
우리전통에는 없음
상을 차리고 부모님의 혼령을 초청하는 의식을 한 다음, 축문을 읽어 상을 차린 의미를 전달하고,
인사드리고, 마지막 식사를 대접하고 나면 끝나는 의식임.
차례는 그냥 조상님께 감사하는 의식이니.. 편하게 지내면 됨. 다만 추석은 풍성한 추수를 거두고 나서 조상님께 감사하고, 가족끼리 풍요로운 자리를 마련하면 된다고 봄.
조율이시는 후손을 많이 퍼트려 가문을 일으키겟다는 의미의 제수과일임. 나머지 홍동백서, 좌포우혜, 어동육서등등은 그냥 상을 차릴때 질서있게 통일감을 유지하기 위한 음식을 놓는 방식을 정해둔 것임.
제상상에 가서 감놔라 배놔라 하는게 아니라는 말은.. 그 집안에서 내려온 전통이 있으면 존중해서 타인이 이래저래 훈수두지 말라는 말임.
뼈대 있는 가문이면 전부터 내려오는 부모님께 배운대로 상을 차리면 되고, 이번에 가분이 풍요롭게 번창하여 새로이 시작하는 것이라면. 지금부터 통일감 있게 지내면 됨.
정작 중요한것은.. 나의 조상과 나의 후손이 누구이고, 나의 핏줄은 누구인지 이것을 후대에 전해줘서.. 길가다 서로 멱살잡이 하지 않게 하는것이 중요한것임.
제사를 지내는 집안은 한부모 아래 부모가 만들어준 인연을 후대로 계속 전달하는 일이 가능할것으로 봄. 제사상 앞에서 힘세다고 부유하다고 동생이 형보다 먼저 절할수는 없음. 그 순서를 바꾸어 지내면.. 개판 오분전인 집안일것임.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