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이란것은 자신이 원하는것을 스스로 쟁취할때 얻어지는것임.
그리고 그 쟁취하고 싶은 대상은 사람마다 달라서 지식, 권력, 부, 인간관계, 이성 등 너무 다양하고 대부분의 인간은 이 모든 욕구를 동시다발적으로 충족해가며 자존감을 쌓아가는것.
그리고 이 자존감이라는건 상황에 따라서도 계속 바뀌는데
예릉들어 연매출 100억짜리 하청업체 사장은 비록 부라는 차원에서는 어느정도의 욕구를 채울수 있지만, 권력과 사회적 위치 차원에서는 대기업 계약 실무자급 보다도 못하고, 국세청 9급한테도 조아려야 되기 때문에 권력과 사회적 위치 상으로는 자존감이 박살나버림.
물욕으로 채워지는 자존감도 사람마다 다 달라서 나같은 경우도 5시리즈 정도는 끌어야 되지 않나 해서 샀지만 센터 가기도 귀찮고 스스로가 운전에 별 관심이 없기 때문에 차는 대충 타자라는 생각이고 물욕은 자동차가 아닌 시계수집으로 채우는 편.
사회적 위치가 아주 높고 강한 권한을 부여받은 고위공무원 판검 등은 본인들의 업무에 있어서는 자존감이 엄청나겠지만, 그들중에서도 물질욕이 강한 사람들이 있고 박봉이기 때문에 소비능력이 대해서는 자존감이 떨어지고 결국 본인들의 물질욕을 채우지 못해 뇌물을 받는 경우도 있음.
한국사람들이 의대에 미친 이유는 사회적 자존감, 물질적 자존감 둘다 채울수 있는 유일한 직업이기 때문. 연봉도 높은데 병원에서의 의사는 엄청난 권한이 주어져 있음.
결국 자존감을 채우는 방법은 아주 여러가지인데 그중 가장 비참한 방법이 본인 능력으로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서 자존감을 지킬수가 없기 때문에, 자기 정당화 하는 유형임.
이 유형들이 가장 자주 하는 말이 "내가 아는 진짜 부자는 자동차를 국내차만 끌고 다녀~" 이런식임.
통계적으로도 강남3구 외제차 비중이 전국에서 제일 높고 은행에서 발간하는 고자산가 통계보고서를 보면 그들의 자동차도 주로 포르쉐 벤츠 비엠 등인데 진짜 부자들은 좋은차 안탄다는 근거도 없는 개소리를 씨부리며 자신의 무능함을 정당화 하려함.
자존심은 타인과의 경쟁관계 안에서 규정되며, 자존감은 경쟁관계 바깥에 있다. 타인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때 고양되는 자존심은 경쟁에서 패배할 경우 바닥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자존감은 다른 사람이 나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해서 상처받는 것이 아니다. 만약 타인의 비난이나 무시가 스스로의 판단에 근거하여 '옳지 않은 것'이라면 나의 자존감은 상처 입지 않는다
자존심은 타인과의 경쟁관계 안에서 규정되며, 자존감은 경쟁관계 바깥에 있다. 타인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때 고양되는 자존심은 경쟁에서 패배할 경우 바닥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자존감은 다른 사람이 나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해서 상처받는 것이 아니다. 만약 타인의 비난이나 무시가 스스로의 판단에 근거하여 '옳지 않은 것'이라면 나의 자존감은 상처 입지 않는다
자존감은 성장기에 부모의 관심과 사랑으로도 형성될 수 있습니다.
자존감은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본인의 올곧은 철학으로 뼈대가 형성되고 살을 붙여 갑니다.
최상위층에 국회, 정부 사정기관, 사법기관 등이 있고 그 밑에 대기업 그밑에 중견기업 그 밑에 중소기업 그밑에 자영업자 정도 겠네요. 하청업체 사장이 원청 계약 실무자 오라가라할 능력은 없지만 원청 계약 실무자가 하청업체 하급자랑 말 안통하니 사장이 와서 소명해봐라 하면 해야되는 겁니다.
내가 아는누구는 건물이 몇챈데~쏘나타탄다는둥 정작 자기는 부자도 아니고
로또1등되면 차살거면서
"물욕으로 채워지는 자존감도 사람마다 다 달라서 나같은 경우도 5시리즈 정도는 끌어야 되지 않나 해서 샀지만 센터 가기도 귀찮고 스스로가 운전에"5시리즈 끌어도 자존감이 안생기면???
포르세 탄다고 생기겟나요??자존감은 물욕을 채운다고 생기는게 아니에요
자존감이 몬지부터 아셔야되는 수준
모든 사람은 욕구의 크기가 각자 다릅니다
물질에 대한 욕구의 크기 또한 각자의 욕망에 따라 다르지요.
저의 가치관은 살아보니 욕구의 충족은 외부에서 오는게
아니라 내마음에서 오는게 더 크더라고요
남과의 비교에서 욕망이 오는건지 아니면 내스스로 만든 가치기준에서 온건지를
잘살펴볼 일이었어요
다들 행복한 하루 되세요
0/2000자